요약
- 10개월 아기 피부 발진
- 한달이 되도록 낫질 않음
- 오돌도톨 돋아났다가 환부가 커지며 동그란 딱지가 생김
- 동전 습진이며, 약한 스테로이드 연고로 완화 가능하지만 돌이후 15개월정도까지 지속될 수 있음
- 15개월 이후에도 계속 심하면 아토피 검사 필요
증상 확인 및 소아과 방문
한달 전쯤 아기 종아리부터 시작해서 허벅지, 등, 배까지 피부 트러블이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처음에는 오돌도톨하게 땀띠처럼 보이거나, 뾰루지 같은 것도 있었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동그랗게 원형으로 딱지도 생기고 한달이 지나도 좀처럼 상처가 아물지 않았습니다.
처음에는 대수롭지 않게 여기다가 상처가 너무 오래가고 몸의 다른 부위에도 한두개씩 생기는 것을 보고 심상치 않아서 병원을 방문했습니다.
먼저 기존에 다니던 동네 소아과를 방문했는데, 의사 선생님께서 돋보기로 발진 부위를 자세히 보시더니 두드러기가 변형된 것 같다고, 원인은 알 수 없으나 좀 더 지켜보다가 나아지지 않으면 큰 병원에 가보라고 했습니다. 큰 병원에 가보라는 얘기를 들으니 불안감이 생겼습니다.
우선 큰 병원을 예약부터 해놓으려고 3차 병원에 전화했는데, 피부과 가장 빠른 진료는 6개월이나 대기해야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현재로써는 원인을 알 수 없기때문에 진단명이 없으므로 피부과일지 소아과일지 알 수 없어서 초진을 잡기도 애매했습니다.
그래서 일단 2차 병원을 예약했습니다. 2차 병원은 진료의뢰서 없이도 초진이 가능했고 대기 시간이 3차 병원만큼 길지 않았기때문에 우선 2차 병원부터 가보기로 했습니다.
병원을 예약해놓고 시간이 2주정도 지났는데 아기 발진 부위가 점점 퍼지고 상처도 더 심해지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일단 상처 부위와 유사한 증상을 소아발달책과 인터넷에서 찾아봤는데 비슷한 증상이 있었습니다. 바로 동전 습진과 곰팡이균에 의한 피부 발진, 바이러스성 발진과 비슷한 모양이었습니다.
점점 심해지는 것을 보면서 마냥 기다릴 수는 없어서 다른 소아과를 갔는데, 마찬가지로 소아과에서는 판단하기 어렵다고 피부과를 가보라는 답변을 들었습니다.
피부과 방문 및 습진 약 처방
같은 날 동네 피부과를 갔는데 피부과에서는 보더니 두가지가 의심이 된다고 했습니다. 1. 습진 2. 바이러스성 발진.
두 경우 모두 아직 아기들은 피부가 완성되지 않고 면역력이 낮기때문에 잘 발생할 수 있고, 너무 어리기때문에 별다른 약처방 없이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레 좋아질 것이라고 했습니다.
이후 며칠 더 지켜보는데, 역시나 또 더 심해지는 느낌!
답답한 마음에 다른 유명한 피부과를 예약하고 진료를 받으러 갔습니다. 예약도 힘들어서 전날부터 대기 명부를 작성하고 아침 일찍 병원에 도착했습니다.
이 병원에서는 보다 정확한 진단명을 알려줬는데, ‘동전 습진’이라고 했습니다.
아기가 15개월 이전까지 계속해서 생겨날 것이고, 이 시기에 아기에게 약을 바르는 것은 치료의 목적이 아니라, 흉터를 남기지 않기 위함이라고 합니다.
아기가 너무 어려서 아주아주 약한, 가장 약한 7단계 스테로이드 연고를 처방해 주었습니다. 약 이름은 ‘하이로손’
일단 흉지지 않게 가끔 약을 발라주고, 발라준 날짜만큼 스테로이드 연고는 쉬어줘야한다고 합니다. 예를들어 3일 발랐으면, 3일 간 쉬어주기.
지금 이 외에 특별히 해줄 수 있는 것은 없고 15개월 이후에도 계속 이런 발진이 몸에 생겨나면 아토피나 다른 검사를 해봐야한다고 합니다. 일단은 아토피를 판단하기엔 너무 어리므로 습진 관리를 해주기. 돌~15개월까지도 계속 같은 피부 트러블이 몸에 생길 수 있다고 합니다.
여러 병원을 돌아본 결과 어쨋거나 심각한 상태는 아니라고 하니 한시름 덜었지만 그래도 갈수록 심해지는 아기 피부를 보고 있자니 마음이 너무 안좋습니다. 내 눈에는 심각해보이는데... ㅠ ㅠ 지켜보면서 흉지지 않게 하는 목적으로 연고 발라주기... 지금으로써는 이정도밖에 해줄 게 없나 봅니다.
일단 계속 지켜보다가 나아지지 않으면 예약해놓은 2차 병원 진료는 받아볼 예정입니다.
이 글이 혹시 원인모를 아기 피부 발진때문에 고민이신 분들께 도움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Whate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밈 코인(Meme coin) - 인기 이유와 주의할 점(도지코인, 페페코인) (0) | 2023.05.11 |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후유증, 통증의 새로운 측면 (0) | 2023.05.11 |
업비트 트래블룰 - 입금 실패 대처 방법 (0) | 2023.03.30 |
고든 무어(Gordon Moore) (1) | 2023.03.25 |
ToF와 Lidar (1) | 2023.03.15 |
댓글